정착 가이드: 정신건강 지원받기

호주 성인의 절반은 살면서 어느 순간 정신건강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Older woman worried about the future

Elderly Asian woman with a worried look on her face, shallow depth of field with focus on hand. Source: E+

정신건강 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됩니다. 

의 루스 다스 씨는 “때로 사람들은 일과를 처리하는 것이 벅차고 할 수 없다고 느끼거나 수면장애 또는 며칠 동안 지속되는 우울이나 스트레스에 압도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사람들은 불안과 걱정 또는 일상에 지칠 수 있고 식욕이 저하되거나 가족 구성원에 대한 걱정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호주에 이민오기 전이나 후에 트라우마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일과를 처리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man_depressed.jpg?itok=Nil_uySJ&mtime=1538384453
누구나 정신건강 문제로 고통을 겪을 수 있지만 이민자는 더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합니다. 취직을 하고 거처를 마련하는 동시에 새로운 언어와 일을 처리하는 새로운 방식을 알아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새로운 이민자들은 보통 도움과 지원을 받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브론윈 홀 씨는 정신질환과 관련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비영리 단체 의 지역사회지원서비스(Community Support Services) 책임자입니다.

홀 씨는 “가족이나 친구를 모국에 두고 이민 온 경우 새로운 국가에 정착할 때 그들을 지원해 줄 네트워크나 새로운 국가에 적응해 나가면서 느끼는 감정과 어려움에 대해 대화할 사람이 생기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반의와 상담하기

이민자는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다른 호주 국민보다 덜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있고 다양한 언어로 무료로 제공된다는 것을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지원을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찾을 곳은 일반의입니다. 일반의와 모국어로 대화하고 싶다면 통역사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의사는 통역사의 도움을 받도록 해 줄 것입니다.
gp.jpg?itok=2TXzlMZ-&mtime=1538384547
루스 다스 씨는 “다양한 언어 지원이 가능한 일부 서비스가 있고 일반의는 어떤 서비스가 가능한지 알려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문화차이에서 발생하는 정신건강 이슈를 전문으로 다루는 서비스가 국내 일부 주에서 가능한데 특히 NSW주, 빅토리아주와 퀸즐랜드주에서는 이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모국어 또는 영어로 서비스가 제공되며 특히 이민자나 난민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서비스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무료 전화상담서비스에 전화하기

여러분이 겪고 있는 일에 대해 상담을 원하거나 지금 당장 대화하길 바란다면 무료 전화상담서비스가 구축돼 있는 또는 과 같은 기관에 전화할 수 있습니다. Beyondblue 는 1300 22 4636번, Lifeline은 13 11 14 번입니다.

를 방문하시면 온라인 상에서도 대화가 가능합니다.

본인이 직접 전화할 수도, 아니면 도움이 필요한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대신 전화할 수도 있습니다. 모국어로 대화하길 원할 경우 통번역서비스 13 14 50번으로 먼저 전화해 beyondblue 또는 Lifeline에 연결해 줄 것을 부탁하시면 됩니다.

Beyondblue 웹사이트에서 를 클릭하면 다양한 언어로 된 정신건강 관련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man-1868730_1280.jpg?itok=RfbMtsYO&mtime=1538384687
어떤 방법을 취하든 필요한 경우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ifeline의 전략연구(Strategy and Research)의 책임자 앨런 우드워드 씨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우리 모두는 취약하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라면서 “이는 인간이 처한 상황의 일부”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연구가 보여주는 것은 하거나 그들의 정신건강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때가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을 받기 원하면 일반의와 상담 예약을 하거나 무료 전화상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1300 22 4636번으로 또는 13 11 14번으로 전화하시기 바랍니다. 모국어 지원을 원할 경우 통번역 서비스 13 14 50번으로 먼저 전화하십시오.




Share
Published 10 October 2018 10:47pm
Updated 10 October 2018 10:55pm
By Audrey Bourget
Presented by Euna Cho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