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호주 참여한 오커스, 핵무기 물질 불법이전 포함 여부 따져봐야’ 반발

nuclear

Flags are seen in front of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headquarters in Vienna, Austria. Source: Reuters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를 발족하며, 호주의 핵 추진 잠수함 보유를 지원키로했다.


Highlights
  • 호주, 미국, 영국 ‘안보 파트너십 오커스(AUKUS)’ 결성… 호주 핵 추진 잠수함 보유 지원
  • 중국 강력 반발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해치는 일”
  • 왕췬 유엔 주재 중국 대사 “핵무기 물질의 불법 이전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3국이 협정 폐기해야…”
중국이 호주, 미국, 영국이 맺은 안보 파트너십 ‘오커스(AUKUS)’를 지적하며, 이 협정이 핵무기 물질의 불법이전과 연관이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9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를 발족하며, 호주의 핵 추진 잠수함 보유를 지원키로 합의했다.

당시 중국은 오커스 결성을 강력히 비난하며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해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 중국은 호주, 영국, 미국이 핵무기 물질 이전과 관련된 국제 합의를 회피하도록 유엔이 허용해선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는 핵무기확산금지조약(NPT)에 따라 오커스 차원에서의 핵물질 이전과 관련한 공식 의제를 설정하자는 중국 측 제안을 수용했다.

왕췬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오커스 협정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왕췬 대사는 “오커스 협정이 3국 간의 협력에 핵심 사항인 핵무기 물질의 불법적인 이전과 관련이 있는지 따져봐야 하며 이는 회피할 수 없는 질문이다”라며 “핵무기 물질의 불법 이전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3국은 국제 비확산 체제에 전면적인 도전을 계속할 것이 아니라 즉시 협정을 폐기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