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주요 뉴스
- 호주중앙은행, 기준 금리 4.35%로 동결..."상황에 따라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 배제하지 않고 있다"
- 수퍼마켓 가격 부풀리기 조사위원회...기업 분할 관련법 '만지작'
- 연방정부, 건설 및 주택 분야 기술 훈련에 9000만 달러 투입
-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승인 자진 철회
- 고국, 민정수석 부활
- 호주중앙은행이 상황에 따라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호주중앙은행은 7일 통화정책 회의를 열고 기준 금리를 4.35%로 동결했다. 인플레이션이 지난 몇 개월 동안 상당히 완화하면서 금융 전문가들은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해 조심스럽게 긍정적인 기대를 했지만 예측이 빗나갔다. 미셸 블록 호주중앙은행 총재는 호주의 금융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 총재는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고용을 유지하기를 바라는데 길을 찾으려는 힘든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 시점에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준의 금리라고 믿지만 이사회는 그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수퍼마켓 가격 책정 관행을 조사하는 의회위원회 위원이 기업 분할 관련법이 가격 인하를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식품업계 가격 부풀리기 조사 보고서에서 녹색당이 제안한 대형 수퍼마켓의 시장 지배력 분산은 조사위원회의 주요 권고사항 중 하나였다.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과도한 가격 인상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해야 한다는 것 역시 제안안으로 제시됐다. 닉 맥킴 녹색당 상원의원이자 조사위원회 의장은 이러한 새로운 법들이 호주 수퍼마켓들 사이에 더 많은 경쟁을 촉발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맥킴 의원은 "콜스와 울월스에 자산 매각 명령을 하면 수퍼마켓 부문에 더 많은 경쟁이 이뤄지고, 식품 및 식료품 가격 하방 압력을 가하게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연방 정부가 건설 및 주택 분야의 기술인력 수를 늘리기 위해 9000만 달러 규모의 패키지를 예산안에 포함해 2만 개의 훈련 과정 자리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1월1일부터 2년 동안 1만5000개의 무료 주립기술전문대학(TAFE) 및 직업기술교육(VET) 과정 자리가 마련되며 이는 호주의 주택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다. 14일 발표되는 연방 예산안에는 또 사전 직업훈련 프로그램(pre-apprenticeship)에 추가 5000개의 자리를 마련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건설 및 주택 분야의 자격증을 소지한 1900명의 잠재적 이민자들에 대한 기술 평가를 신속 처리하고, 특정 직업 분야의 신규 입국자에 대한 평가 진행을 위해 추가 180만 달러가 투입된다.
- 코로나19 백신을 제조한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자사의 코로나19 백신 판매 승인을 철회한다고 로이터가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를 인용해 보도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판매 승인을 철회하면 이 회사의 백신 박제브리아(Vaxzevria)를 유럽연합 내에서 사용할 수 없다. 철회 신청은 현지 시간 지난 5일 접수돼 7일 승인됐으며, 코로나19 백신을 승인한 영국과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 고국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민심 청취 기능이 취약하다는 지적에 따라 앞서 폐지했던 민정수석실을 되살렸다. 앞서 대통령 후보 시절부터 '사정기관 장악' 등을 우려해 민정수석실 폐지를 내세웠지만 취임 2년 만에 신설하기로 했다. 신임 민정수석에는 검사 출신인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이 내정됐는데, '사법리스크 대응용'이라는 의심에 대해 윤 대통령은 사법리스크가 있다면 자신이 직접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응하기 위한 방탄용이란 지적에 반박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