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대표적 설음식은 떡국이다. 호주한인동포들도 설날에는 떡국을 반드시 밥상에 올린다.
떡국
- 대표적 설날 음식
-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상징적 의미
- 건강과 장수 기원
설날의 대표적 한국음식이 떡국이라는 것은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설날에 우리 한국인들이 먹는 음식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떡국은 필수이기 때문.
그야말로 가장 한국적이고 한국 전통음식인 떡국, 호주한인들은 떡국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또 호주인들은 우리의 떡국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까?
아무튼 떡국은 한국인에게 특별한 음식이다.
한국인이라면 새해가 되면 으레 떡국을 먹는다. 한 살 더 나이를 먹는다는 의미와 함께 하얗고 긴 가래떡을 먹으면서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 여기기 때문이다.
호주에 사는 한국 동포들도 예외는 아니다.

Tteokguk is a soup made with disc-shaped rice cakes called garae-tteok, in clear, usually beef, broth. Source: Supplied by the Korea Tourism Office
시드니에 사는 박연주 씨도 설날이면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떡국을 먹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한다.
“설날하면 떡국이 가장 먼저 떠오르죠. 공식적으로 떡국을 가족들고 나눠먹으면서 한 살 더 먹고 한 해를 건강하고 무사하게 보내자는 시작을 알리는 의미있는 음식인데요. 물론 안먹어도 되지만 그런 의미를 담은 음식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접하게 된다”
떡국을 먹는 행위만으로 새해를 시작하는 마음의 준비를 하게 된다는 박연주 씨.
추석에 주로 먹는 송편과는 달리 떡국은 꼭 명절이 아니더라도 즐길 수 있는 간편한 음식이기는 하지만, 설에 먹는 떡국 한 그릇은 나이를 한 살 더 먹고 긴 가래떡을 엽전처럼 동그란 모양으로 썰면서 장수와 재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다.
또 고기 육수나 멸치 육수에 계란 지단이나 김가루, 소고기 등 지역마다 특색있게 고명을 올려먹기도 하고, 떡국에 만두를 넣은 떡만둣국을 즐기기도 한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떡국을 끓여먹을까요?
대부분의 한인여성들은 “간단하게 고기로 육수를 내서 떡을 넣고 고명을 올려서 간단히 먹는다”고 말한다.
시드니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서미희 씨도 설날은 뭐니뭐니해도 떡국이라고 답했다.
그는 “설날에는 기본적으로 떡국만은 반드시 요리 해먹고 생선전이나 잡채 정도. 나물을 먹기도 하지만 만들기는 힘들고 사먹는다”고 말했다.
호주에 사는 동포로서 맞는 명절은 아무래도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서미희 씨 역시 새해 떡국에는 그런 의미가 느껴진다고 강조했다.
“아무래도 새해 예전부터 어렸을 때 먹었기때문에 으레 자연스럽게 먹는 의미가 크다. 어렸을때 어른들이 해주시던 고향 생각? 아무래도 40대 중반인데 여기서 태어난게 아니기 때문에 어릴 때 추억이 있다”
그렇다면 떡국은 호주인들에게도 경쟁력이 있을까?
다수의 한인들은 주변에 외국인과 결혼한 분들도 많고 또 한국 문화를 좋아는 사람이 많아 떡국을 즐기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지적한다.
카페를 찾는 손님들도 떡국을 맛보고는 좋은 반응을 보였다는 서미희 씨. 한국 음식에 대한 좋은 평가로 덩달아 기분 좋았다고 말한다.
“외국분들도 엄청 좋아해요. 지난 1월 1일에 가게 문을 열어서 가게에서 떡국을 해먹었는데 손님들이 뭐냐고 궁금해하셔서 같이 나눠먹었는데 맵지 않으니까 다들 좋아하더군요”라고 서 씨는 말했다.
1월 1일 새해를 맞으며 떡국을 접한 경우가 많지만 음력설에도 한인동포들은 떡국을 다시한번 접하지 않을 수 없다.
READ MORE

컬처 IN: 설날 덕담 한 그릇…우리가 모르는 ‘떡국’의 비밀